본문 바로가기

IT82

마스터링의 정의 마스터링이라는 용어는 믹싱이 끝난후에 최종 스테레오 파일을 처리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마스터링은 그 이상의 단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앨범 및 EP를 생산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마스터링 엔지니어는 매체로 인쇄전 까지의 모든 것을 테스트하고 검사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는 것입니다 트랙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 역시 엔지니어의 몫일 수 있습니다 아티스트 프로듀서 또는 레이블이 트랙 순서를 결정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트랙의 흐름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마스터링 엔지니어가 결정합니다 앨범의 순서가 어떤 크레센도를 만드는지 고려해야 하며 핼범의 흐름을 돕기위해 유사한 키의 곡이 있다면 전이나 후에 배치함으로 자연스러움을 얻습니다 트랙순서가 결정되면 개별 트랙처.. 2018. 1. 24.
오디오 모니터링 주의사항 방의 중간에서 모니터 하지 마세요 흔한 실수 중의 하나로 저음 손실이 된 모니터링이 됩니다 대부분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로우엔드를 명확하게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바닥과 천장사이의 거리에도 적용이 되며 귀의 높이가 천정과 바닥의 중간에 오지 않도록 의자 높이를 조정하세요 벽과 가까운 편에서 듣지 마세요 이전 규칙에 따르면 모니터링을 방의 절반 이상으로 배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당신이 벽 쪽에 가깝다면 뒤쪽 변의 반사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018. 1. 22.
마스터링의 오토메이션 마스터링 컴프레싱의 오토메이션 마스터링에서 컴프레션을 자동화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택시간은 마스터 내에서 다양성과 역동성을 창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코러스의 어택시간을 느리게 하면 섹션의 사운드가 선행하게 되어 보다 더욱 입체적인 마스터가 됩니다 노이즈 컨트롤의 오토메이션 노이즈 복원은 오디오에서 쇠소리나 딱딱 거리는 소음 윙윙거리는 잡음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마스터링 하기전에 인위적인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좋으며 작업할 수 있는 더 좋은 시작점을 만들어 냅니다 노이즈는 오디오의 시작과 끝과 같이 조용한 부분에서 가장 명백한 신호대 잡음 비율이 적합한 정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2018. 1. 21.
리미터로 볼륨 높이기 리미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하면 사운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자세히 들어보세요 서로 다른 볼륨 사이에는 특정한 자리가 존재합니다 이를 위해 레퍼런스 트랙을 참고 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가 소리와 악기의 차이로 인해 인용된 트랙의 레벨에 도달 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수준의 볼륨을 목표로 삼는 다면 문제 없습니다 리미터를 처음 접한다면 2가지 컨트롤만을 자주사용해 봅시다 Input gain Output gain 인풋은 평균소리크기를 설정하므로 너무 많이 추가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잘못하면 음악의 역동성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아웃풋 게인은 절대 출력 레벨을 나타냅니다 이레벨은 항상 0dB 미만이어야 하며 가장 일반적인 값은 -1 데시벨 에서 -0.1 데시벨 사이입니다 특정하게 -0.2 또는.. 2018.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