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Audio Tech57

오디오 리미터의 응용 리미터를 사용하는 것은 특정 채널에 일종의 안전망을 만드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운드에 많은 프로세싱을 적용하면 불안정한 다이나믹이 생길 수 있는데 가벼운 컴프레스 조차 이러한 피크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피크를 제한 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프로세서 마지막에 배치된 리미터는 클리핑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해 주며 상황이 나빠지는 경우에만 소량의 게인 리덕션을 적용하게 됩니다 모든 사람들이 높은 볼륨을 선호하지만 모든 요소가 너무 크게 들리면 믹스가 엉망이 될 수 있습니다 듣는 사람에게 두통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동성이 없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요소들만 볼륨을 높이는 것이 해를 입히지 않고 볼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또한 리미터는 종종 전체 트랙의 볼륨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스.. 2017. 12. 14.
오디오 믹스 전 필수 준비사항 전자음악 또는 EDM같은 장르에서 잘 편집되고 정리된 트랙의 평균길이는 약 6분이며 그렇지 않으면 지루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마스터 출력에 컴프레서와 리미터가 있는 지 확인하세요 베이스는 항상 모노여야 하고 중저음이 넓어야 합니다 모든 중음역 및 고역 신스 사운드에서 저음 EQ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모든 사운드에서 EQ를 최대 400Hz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킥드럼을 선택할때 전문가의 샘플을 응용하도록 하세요 더욱 전문적으로 들리게 됩니다 킥과 베이스라인을 모노로 유지하십시오 스테레오의 사용은 쓸모가 없습니다 그것은 너무 많은 음량을 차지할 것이고 스네어나 신스의 스테레오 이미지가 필요한 곳에서 벗어나게 할 것입니다 킥드럼의 EQ를 40Hz까지 낮추어 보십시오 베이스가 너무 거칠어 질 수 있기 .. 2017. 12. 11.
오디오 믹스의 일반적인 이퀄라이즈 실수 오디오믹스 중 이퀄라이즈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미드 레인지를 소홀히 한다 우리는 이퀄라이즈를 만들때 스펙트럼의 극단을 건드리는 것을 좋아하고 바닥을 만드는 저음과 투명한 고음을 구현하는데에 집착합니다 하지만 미드 레인지는 대부분의 악기의 핵심 부분이기 때문에 절대 간과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믹스 초기부터 주파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떤 부분이 누락되는지 들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바닥과 고음을 표현할 줄 안다면 이젠 미드 레인지를 어떻게 다룰것인지 연구해 보도록 하십시오 2017. 12. 10.
일렉기타 마이킹 팁 이번에는 일렉기타 녹음시 마이킹하는 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반적으로 앰프에 마이크를 놓을때 가까이 놓는 방법과 멀게 놓는 방법이 있습니다 멀게 놓는 방법에는 두가지 접근법이 있고 다음과 같습니다 2피트 떨어진 곳에서 마이킹을 하면 자연스러운 사운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사운드는 블루스 기타의 음색이나 분위기가 있는 기타에 잘 어울립니다 룸에서 좀 더 넓게 들리도록 만들고 싶다면 양방향 마이크를 사용하도록 하싶시요 Royer121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것은 앞과 뒤에서 들리게 하고 마이크 측면에는 아무것도 받아지지 않기 때문에 공간의 사운드를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2017. 12. 7.